호주 외국어 교육(한국어 포함)
□ 호주 외국어 교육 방향
◦ ◦ 전통적으로 영어권 국가들은 영어를 공용어로 인식하여, 상대적으로 외국어 교육에 관심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지만,
호주는 다양한 이주민 배경과 아시아 국가에 대한 이해 강화를 위해서 정부에서 외국어 교육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.
◦ 한국어를 포함한 다양한 외국어 교육은 연방정부 교육과정에 K-10까지 외국어교육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,
일부 주에서 이주 배경에 따른 수준별 외국어 교육과정에 맞춰 제공되며, 이에 따른 대입 시험도 마련 되어 있습니다
□ 주별 외국어 교육 정책 및 한국어 교육과정
1. NSW(뉴사우스웨일즈)주
가. 외국어 교육
◦ (초등학교 외국어 교육) NSW주의 초등학교 외국어 교육은 학교장의 재량에 따라 시행되며, 학부모 요구와 이민자 배경 등을
고려하여 외국어 교육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◦ (중등학교 외국어 교육) 7학년 또는 8학년에 최소 100시간의 외국어 교육을 의무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.
◦ (중등학교 외국어 과목 개설) 각 학교가 외국어 과목을 개설하지만, 개설되지 않은 외국어 과목을 배우고 싶은 학생은 13개 캠퍼스에서 운영되는 중등 토요 언어학교 (Secondary College of Languages)에서 학습 할 수 있습니다.
◦ (NSW주 내 한국어 채택 현황) 2024년 현재, 총 49개교 (초등 20개교, 중등 26개교, 초.중등통합 3개교)에서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.
나. NSW주 내 한국어 교육과정
NSW주 내 한국어 교육과정은 비한국계와 한국계 학생을 구분하여 4개의 과정으로 편성되어 있으며, 대입 시험에서도 4개 과목을 선택 가능합니다.
코스명 | 자격 | 비고 |
Korean Beginners Course (비한국계 초급과정) | Year 11~12 동안 한국어를 200시간 이상 공부한 학생 대상 |
|
Korean Continuers Course (비한국계 중급과정) | Year 9~10 동안 한국어를 200시간 이상 공부한 학생 대상 |
|
Korean in Context (한국계 초급과정) | 호주에서 태어 났거나, 10세 또는 4학년 이전에 호주에 온 한국계 학생 대상 |
|
Korean and Literature (한국계 중급과정) | 10세 이후에 온 한국계 학생 대상 |
|
2. QLD(퀸즐랜드)주
가. 외국어 교육
◦ (초·중등학교 외국어 교육) QLD주는 모든 5학년, 6학년, 7학년, 8학년 학생들에게 외국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며, 가능한 경우
학교에서는 Prep부터 12학년까지 외국어 교육을 권장하고 있습니다.
◦ (QLD주 내 한국어 채택 현황) 2024년 현재, 총 2개교 (중등 1개교, 초.중등 1개교)에서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.
3. VIC(빅토리아)주
가. 외국어 교육
◦ (정규 시간 내 외국어 교육) Foundation학년부터 10학년까지 외국어 프로그램을 의무적으로 제공하여야 하며,
이를 통해 학생들은 20개 이상의 언어를 학교에서 배울 수 있습니다.
◦ (정규 시간 외 외국어 교육) 빅토리아주 언어학교 (Victorian School of Languages)에서는 50개 이상의 언어에 대해 학교 외 시간 (토요일 또는 방과후)에 언어 교육을 지원하고 있습니다.
◦ (VIC주 내 한국어 채택 현황) 2024년 현재, 총 9개교 (초등 4개교, 빅토리아주 언어학교 (Victorian School of Languages) 5개 센터에서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.
나. VIC주 내 한국어 교육과정
VIC주는 1993년부터 한국어가 VCE (Victorian Certificate of Education) 대입과목으로 인정되었으며, 1994부터 학생들이 한국어를 VCE과목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. 현재는 두 가지 주요 과정이 제공됩니다.
◦ KSL (Korean as a Second Language) 비한국계 학생들이 한국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과정
◦ KFL (Korean as a First Language) 한국계 학생들이 모국어로 한국어를 배우는 과정
4. SA(남호주)주
가. 외국어 교육
◦ (초·중등학교 외국어 교육) Foundation학년부터 8학년까지 외국어를 배우도록 의무화하고 있으며, Foundation부터 7학년까지는 주당 80분, 8학년부터 10학년까지는 주당 128분이 할당되며, 8학년 이후에는 선택 과목이 된다.
◦ (SA주 내 한국어 채택 현황) 비한국계 학생이 대다수 수강하고 있으며, 2024년 현재, 총 3개교 (초등 1개교, 남호주 언어학교 (School of Languages) 2개 센터에서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.
나. SA주 내 한국어 교육과정
◦ (Korean Background Speakers)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학생들을 위한 과정
◦ (Korean Beginners)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학생들을 위한 과정
◦ (Korean Continuers) 한국어를 계속해서 학습하는 학생들을 위한 과정
5. WA(서호주)주
가. 외국어 교육
◦ (초·중등학교 외국어 교육) WA주는 3학년부터 8학년까지 외국어 교육을 의무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, 9학년과 10학년에서는 선택과목으로 공부할 수 있습니다.
◦ (WA주 내 한국어 채택 현황) 비한국계 학생이 대다수 수강하고 있으며, 2024년 현재, 총 3개교 (초등 1개교, 중등 1개교, 방과후 과정 1개교)가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습니다.
나. WA주 내 한국어 교육과정
◦ (First Language Course)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학생들을 위한 과정
◦ (Second Language Course) 한국어를 제2언어로 배우는 과정
◦ (Background Language Course) 한국어를 배경 언어로 사용하는 학생들을 위한 과정
※ 2023년도까지 대입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이 완료됨에 따라, 2024년 대입에 한국어 시험이 시행됨
6. ACT(호주 수도)준주
가. 외국어 교육
◦ (초·중등학교 외국어 교육) 3학년부터 8학년까지 필수이며, 이후 9학년과 10학년에서는 선택 과목으로 제공됩니다.
◦ (ACT주 내 한국어 채택 현황) 비한국계 학생이 대다수 수강하고 있으며, 2024년 현재, 총 5개교 (중등 3개교, 초중등 통합 2개교)가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습니다.
나. ACT 내 한국어 교육과정
◦ (Beginners (초급))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학생들을 위한 과정
◦ (Continuers (중급)) 한국어 기초가 있는 학생들을 위한 중급 과정
◦ (Advanced (고급)) 한국어 능력이 우수한 학생들을 위한 고급 과정